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카메라의 기계식 셔터 vs 전자식 셔터 – 각 셔터의 장단점

by 모뎅뎅 2025. 3. 22.
728x90
반응형

카메라 관련 이미지

사진을 촬영할 때 우리가 셔터 버튼을 누르면, 그 순간 카메라 내부에서는 '찰칵' 소리와 함께 셔터가 작동한다.
그 셔터에는 기계식 셔터(Mechanical Shutter)전자식 셔터(Electronic Shutter) 두 가지 방식이 있다.
이 둘은 촬영 방식과 결과물에서 차이가 있으며, 사용 환경에 따라 장단점도 뚜렷하다.

  • 기계식과 전자식 셔터의 구조적 차이는 무엇일까?
  • 각 셔터 방식은 어떤 장단점을 가지고 있을까?
  • 실제 촬영 상황에서는 어떤 셔터를 선택해야 할까?

이번 글에서는 기계식 셔터와 전자식 셔터의 원리, 그리고 촬영 환경에 따른 활용 팁을 자세히 설명하려 한다.

1. 기계식 셔터 vs 전자식 셔터 – 기본 원리 이해하기

📌 기계식 셔터(Mechanical Shutter)란?

기계식 셔터는 셔터막이 물리적으로 열리고 닫히며 빛을 차단하는 방식이다.
셔터막은 두 장의 커튼으로 구성되어 있고, 첫 번째 막이 열리고 일정 시간 후 두 번째 막이 닫히면서 노출을 조절한다.

✅ 특징

  • ✔ 실제로 셔터막이 움직이므로 셔터 소리가 존재
  • 플래시 동조와의 호환성이 뛰어남
  • 롤링 셔터 왜곡이 거의 없음

📌 전자식 셔터(Electronic Shutter)란?

전자식 셔터는 셔터막이 움직이지 않고, 이미지 센서가 빛을 받는 시간을 전자적으로 제어하는 방식이다.
즉, 센서의 전원을 켜고 끄는 것만으로 노출을 조절하는 셔터다.

✅ 특징

  • ✔ 셔터막이 없으므로 완전 무음 촬영 가능
  • 매우 빠른 셔터 속도 구현 가능 (1/16000초 이상)
  • 셔터 진동이 전혀 없음

📌 두 셔터 방식은 작동 원리부터 완전히 다르며, 결과물의 특성도 달라진다.

2. 기계식 셔터 vs 전자식 셔터 – 장단점 비교

구분 기계식 셔터 전자식 셔터
작동 방식 셔터막이 실제로 열리고 닫힘 센서의 전자 신호로 노출 시간 제어
소음 찰칵 소리 발생 완전 무음
셔터 진동 있음 (삼각대 사용 시 유의) 없음
롤링 셔터 왜곡 거의 없음 빠른 움직임에서 왜곡 가능성 있음
플래시 호환 모든 플래시와 호환 일부 상황에서 플래시 사용 불가
셔터 속도 보통 1/4000초~1/8000초 최대 1/16000초 이상 가능
배터리 소모 다소 많음 비교적 적음

📌 기계식 셔터는 안정성과 신뢰성이 높고, 전자식 셔터는 정숙성과 고속 촬영에 유리하다.

3. 실제 촬영 환경에서의 선택 가이드

📌 ① 기계식 셔터를 추천하는 상황

  • 플래시를 사용하는 촬영 → 기계식은 모든 플래시 속도에 대응
  • 빠른 움직임의 피사체 → 왜곡 없이 자연스러운 이미지 확보
  • 정밀한 색감과 디테일이 필요한 환경 → 센서 간섭 적음

📌 ② 전자식 셔터를 추천하는 상황

  • 무음 촬영이 필요한 공연장, 동물 촬영 등
  • 매우 밝은 환경에서 얕은 심도 표현 (예: f/1.2 + 1/16000초)
  • 빠른 연속 촬영이 필요한 스포츠 촬영

📌 ③ 전자 선막 셔터(EFCS)의 절충안

전자 선막 셔터는 첫 번째 셔터는 전자식으로, 두 번째 셔터는 기계식으로 작동하는 방식이다.
기계식의 안정성과 전자식의 무진동 장점을 동시에 얻을 수 있어 삼각대 촬영이나 풍경 촬영에서 많이 활용된다.

✅ 어떤 셔터를 선택해야 할까?

  • 기계식 셔터 → 플래시 사용, 빠른 피사체 촬영, 색감에 민감한 촬영
  • 전자식 셔터 → 무음 촬영, 초고속 셔터, 진동 없는 촬영이 필요한 환경
  • 전자 선막 셔터 → 풍경 촬영, 삼각대 사용, 절충형 활용에 적합

📌 촬영 목적과 환경에 따라 셔터 방식을 유연하게 선택하면 더 높은 퀄리티의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.
이제 카메라 셔터 설정을 확인하고, 자신에게 맞는 방식으로 촬영을 시도해보자! 📸

728x90
반응형